We read every piece of feedback, and take your input very seriously.
To see all available qualifiers, see our documentation.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마침 이번 장에서도 4장과 동일한 예시가 나오기에 떠올랐습니다~!
지난번 제 질문 토끼는 왜 역할로 분류하지 않았을까요? 관련해서 의견을 나누던 중 역할에 대해서 저희가 이야기를 나누어 봤습니다.
토끼는 왜 역할로 분류하지 않았을까요?
저는 역할을 Swift에서 protocol로 이해를 했었는데요! 다른 분들 의견으로는 역할에 대한 타입을 정의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객체는 역할을 상속받은 것 이라고 하셨던걸로 기억합니다!!
저는 이번 장을 읽고 역할을 Protocol로 보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좀 더 확고해졌습니다.
제가 잘못이해 한것이 아닐까 싶어서 다른 분들의 이견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
저는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가 Protocol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어요! 역할이 추상적인 개념이라서, protocol을 사용하지 않고도 역할을 수행하는 타입을 여럿 두는 식으로 역할을 수행한다-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Sorry, something went wrong.
Protocol은 역할을 정의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역할 = Protocol이라고 보는 것은 어렵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Protocol 없이 타입 만으로도 충분히 역할을 만들어 줄 수 있지 않을까요?
저는 이번 장을 읽고도 역할은 "타입"(타입 정의) 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Protocol도 타입처럼 취급될 수 있기에 Protocol도 역할이 될 수 있는 것 같아요. 니코가 이번 장을 읽으시고 더욱 역할을 Protocol로 생각하게 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저도 역할을 protocol로 보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요, 좀 더 디테일하게 말하면 Protocol을 타입으로서 사용하면 역할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역할은 책임의 집합
대체가능
예를 들어 심판이라는 프로토콜을 정의하면,
심판
protocol 심판 { func 증언하라( ) func 목격자를_불러오라( ) }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마침 이번 장에서도 4장과 동일한 예시가 나오기에 떠올랐습니다~!
지난번 제 질문
토끼는 왜 역할로 분류하지 않았을까요?
관련해서 의견을 나누던 중 역할에 대해서 저희가 이야기를 나누어 봤습니다.저는 역할을 Swift에서 protocol로 이해를 했었는데요!
다른 분들 의견으로는 역할에 대한 타입을 정의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객체는 역할을 상속받은 것 이라고 하셨던걸로 기억합니다!!
저는 이번 장을 읽고 역할을 Protocol로 보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좀 더 확고해졌습니다.
제가 잘못이해 한것이 아닐까 싶어서 다른 분들의 이견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