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
options
modrpc edited this page Aug 24, 2025
·
10 revisions
- (만기가 임박하여) 이미 대부분의 프리미엄을 벌었거나, 주가가 하락해 옵션 가치가 거의 사라졌을 때, 수익을 확정하기 위해 사용
- 예를 들어, 프리미엄 $2.00 에 매도한 콜업션이 $0.20 이하로 떨어지면 조기 청산
- (+) 수익확정; 남은 기간 동안 주가 급등 위험 제거
- 주가가 행사가를 강하고 돌파하고 추가 상승이 가능할때, 기초주식이 소환되기를 원치 않는 경우에 사용한다.
- (기존의 옵션을 매입함으로써) 기존의 포지션을 마감하면서 동시에 더 높은 행사가격에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
- (+) 기초자산을 유지할 수 있음
- (-) 매도한 콜 옵션을 손실보고 되사서 청산함
- 옵션의 행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했을 때, 옵션을 계속 유지하고 싶을때 사용
- 기존 포지션을 마감하고, 동시에 만기가 기존보다 늘어난 옵션을 매도한다. 행사가격은 변할 수 있다.
- (+) 장기적으로 옵션 프리미업 수익 지속
- roll-up과 roll-out을 동시에 수행하는 전략
- 주식을 매입함 (buy) 과 동시에 커버드 콜 옵션을 매도 (write) 하는 것
- 관건은 콜옵션을 매도하기 적합한 주식을 찾아내는 것
-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할 때, 할 수 있는 세가지 방법
- 주식 매각 (손실 회피)
- 공매도 (sell short)
- 풋옵션 매입 (long put)
- 풋옵션 매입시 주가가 하락할 때, 이익을 보고 주가가 더 빨리/많이 하락할수록 풋옵션의 가치는 높아진다.
- 풋옵션 매입의 두가지 목적
- 투기: 공매도에 비해 안전함 (공매도는 최대 손실의 제한이 없지만, 풋옵션 매입시 최대 손실액을 미리 알수 있음)
- 보험 또는 헷징: 주식에 대한 롱 포지션을 유지하는 경우, 풋옵션을 매입하여 헷지
- 세금관리의 목적: 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세금 문제로 주식을 팔고 싶지 않을 때